경제,금융

2019년 기업경영분석 자료에 나오는 대한민국 평균 부채비율, 차입금의존도, 이자보상비율(배수)는?

GODblessus 2023. 1. 7. 12:22
[기업의 정석] 2019년 기업경영분석 자료에 나오는 대한민국 평균 부채비율, 차입금의존도, 이자보상비율(배수)는?
 온이아빠  2020. 11. 10. 0:55
이번에는 우리나라의 기업의 평균적인 재무비율을 알아보려고 합니다. KISLINE 이나 Cretop 같은 기업정보를 전문적으로 제공해주는 사이트에서 업종별 평균을 알아볼 수 있지만, 대한민국의 평균, 업종별 평균 재무구조 및 재무비율은 한국은행에서 발표하는 자료를 찾아보면 언제든지 확인 가능합니다.
첨부파일
2018년 기업경영분석_19년11월5일 게시.pdf
파일 다운로드
 
재무제표에 대한 항목별 설명

한국은행은 매년 10월~11월 사이에 기업경영분석 이라는 자료를 발표합니다. 이 자료에는 우리나라의 전체기업에 대한 재무제표를 종합하여 전산업/제조업/비제조업, 업종별, 대기업/중소기업 등으로 구분하여 재무구조와 재무비율을 보여줍니다. 뿐만 아니라 ①재무제표 가각의 항목에 대한 설명은 물론 ②기업경영분석을 위한 각각의 재무비율은 어떤식으로 구하고 어떤의미가 있는지 친절히 설명을 해주고 있었습니다. 대학교 시절에 이런 자료를 알았다면 Report를 제출하거나, 재무분석 공부 시 정말 많은 도움이 되었을 것입니다.
 
재무비율에 대한 설명과 수식도 제공

한국은행에서는 2018년도의 재무제표 자료는 2019년 11월5일에 발표를 했고, 2019년의 자료는 2020년 10월 21일에 통계편을 먼저 발표를 했습니다. 2019년 통계편 자료는 10M가 넘어, 링크로 안내를 드립니다. 해설 및 통계편 자료가 발간되면 업데이트로 인하여 연결이 안될 수 있으니, 혹시라도 연결이 안되면 아래에 답글로 요청 주시면 수정해 두겠습니다.
 
최근 3개년 기업규모별 비율변화
위의 자료를 이용해서 연도별 비율변화 그래프를 만들어 보았습니다. 도움이 되시면 좋겠습니다.
참고로 19년의 경우 18년대비 부채비율 상승, 차입금의존도도 상승, 이자보상비율도 하락 등 전반적으로 안정성과 수익성이 악화되었습니다. 특히나 기준금리가 19년초 상승했던 영향일수도 있으나, 결국 18년도보다 기준금리가 하락했음에도 이렇게 지표가 악화되었다는 것은 전반적으로 기업들의 실적이 좋지 않았다는 것으로 이해를 하고 있습니다.
 
대한민국 기업의 안정성 비율 변화(전산업)
 
대한민국 기업의 안정성 비율 변화(제조업)
각각의 재무제표, 재무비율 중 중요하게 보는 내용은 나중에 다시 언급드릴 예정으로, 이번 시간에는 뉴스에서 많이 나오는 대표적인 기업의 안정지표인 차입금의존도와 부채비율, 그리고 이자보상배수의 변화만 보여 드렸습니다.
혹시라도 궁금해 하실 것 같아 위 3가지 지표에 대하여 간단히 설명드려 봅니다.

1) 부채비율
'부채비율 = (부채총계/자본총계) X 100' 이라는 공식으로 구합니다. 부채총계는 남의 돈으로, 자본총계는 내돈으로 이해하시면 됩니다. 이 비율은 대표적인 안정성 지표로 이 비율이 낮을수록 재무구조는 건전하다 판단하며, 200% 이상이면 부실 가능성이 있는 업체로 판단 합니다.

2) 차입금의존도
'차입금의존도 = (총차입금/자산총계) X 100' 이라는 공식으로 구합니다. 이자를 지급하기로 약정하고 외부에서 조달한 차입금의 비중을 나타내는 지표로, 이자부 부채를 총자산(내돈+남의돈)으로 나누어 구합니다. 40%가 넘어가면 부실업체로 평가하며, 수치가 높을수록 수익성이 저하되고 안정성은 떨어집니다.

3) 이자보상비율
'(영업이익/총금융비용) X 100' 이라는 공식으로 구합니다. 한국은행에서는 이렇게 X 100을 구하지만, 실무에서는 이자보상배수라고 하여 %가 아닌, 배수를 적용합니다. 영업이익을 가지고 이자를 몇 번 상환할 수 있는지를 측정하는 수익 창출능력을 측정하는 지표 입니다. 통상 3배 이상이면 적정, 1미만은 부실전환 가능성이 높다 판단합니다.


지금까지 한국은행에서 발간한 기업경영분석 이라는 자료를 가지고 연도별 지표의 변화와 가장 많이 보는 3가지 지표에 대한 설명을 해 보았습니다. 다음시간에는 기업의 신용등급에 대하여 이야기 해보겠습니다.

지금까지 도움이 되셨다면 '공감(♡) ' 버튼 한번 꾹 ~ 눌러주세요. 어서빨리 법인을 설립하여 운영해 보고싶은 온이아빠 였습니다.

※ 목차
1. 대한민국의 기업수는?
2. 외감사란? 외부대상 기준은?
3. 기업과 법인의 차이. 법인카드는 왜 사용할까?
4. 사단법인과 재단법인, 영리법인과 비영리법인의 차이점은?
5. 5가지 영리법인(주식회사, 유한회사, 유한책임회사, 합명회사, 합자회사)의 형태와 특징, 차이점
6. 대기업, 중견기업, 중소기업의 기준, 그리고 중소기업의 혜택
7. 2019년 기업경영분석 자료에 나오는 대한민국 평균 부채비율, 차입금의존도, 이자보상비율(배수)는?
 
 
 
 
     
     
   
     
온이아빠
artistin2

투자의 발견과 기쁨, 이를 실행하며 가져보는 휴식의 발견과 기쁨을 공유 합니다.

프로필

카테고리

^

활동정보

  • 블로그 이웃 385 
  • 글 보내기 0 
  • 글 스크랩 28 

8

국내지도

크게보기

서재안에 글 0

서재 안에
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