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업

하사가 원사가 되려면=0.1점 싸움이 아닌 0.01점대로 싸운다고 합니다.

GODblessus 2023. 3. 29. 19:52
<ins class="adsbygoogle" data-ad-client="ca-pub-9167802855761091" data-ad-slot="8086857861"><="" ins="" data-adsbygoogle-status="done" data-ad-status="filled" style="display: inline-block; width: 336px; height: 280px;"></ins> <ins class="adsbygoogle" data-ad-client="ca-pub-9167802855761091" data-ad-slot="8086857861"><="" ins="" data-adsbygoogle-status="done" data-ad-status="filled" style="display: inline-block; width: 336px; height: 280px;"></ins> <ins class="adsbygoogle" data-ad-client="ca-pub-9167802855761091" data-ad-slot="8086857861"><="" ins="" data-adsbygoogle-status="done" data-ad-status="filled" style="display: inline-block; width: 331px; height: 280px;"></ins>

부사관의 계급은 4단계입니다.

 
 

직업군인의 길을 선택하여 반평생을 부사관으로 지낸다면 언제 진급을 하는지 알아야겠죠.

육군 기준으로 진급심사는 하사로써 2년을 생활하면 중사 진급심사 기준이 됩니다.

상사는 중사로 5년 원사는 상사로 7년입니다.

 

상사로 진급을 했다면 준사관(준위)으로 갈 수 있는 길도 있습니다.

상사 3년 차에 지원하여 합격하면 준사관으로 갑니다.

과거에는 중사 때 지원했던 것으로 기억합니다만 제도가 바뀌었습니다.

쉽게 이야기하자면 족보 꼬인다고 해서 그렇습니다.

 

어디까지나 기준이기 때문에 바로 진급하는 것은 아닙니다. 심사를 통해 합격이 된다면

중사(진)을 받게 됩니다. 실 계급은 하사지만 중사 진급 예정자로서 다음 계급에 (진)을 붙입니다.

 

(진)은 예정자이기 때문에 잘못된 행동을 하여 징계를 받게 된다면

취소가 될 수 있습니다.

 

최소기준으로 설명하였지만 실질적으로 여러 가지 요인에 따라 진급시기는 많이 달라집니다.

또한, 개인 역량에 따라 후배가 먼저 진급하는 경우들도 많이 있습니다.

단기 하사의(임관 후 4년 군 복무) 경우 전역 1개월 전에 중사 진급하는 경우도 많이 봤습니다.

 

여군 부사관의 경우 3년 복무기 때문에 장기가 되지 않으면 하사 전역을 많이 합니다.

제도적으로 장기전에 복무연장이라는 제도를 통해 연장을 하는 경우도 있으나,

복무연장을 통해서 장기까지 선발되는 경우도 많지는 않습니다.

 

진급을 빨리하면 좋은 점은 봉급이 늘어나고 현 계급정년에서 자유로워집니다.

 

빠른 진급

그렇다면 어떻게 하면 진급을 빠르게 할 수 있는가인데요.

 

1. 처음 부사관으로 지원할 때 주특기를 잘 정해야 합니다.

주특기에 따라 진급시기가 아주 많이 다릅니다.

자리가 많아야 진급이 된다는 것입니다.

자리가 없는 곳에 있어봐야 잘해도 진급이 늦습니다.

보병이 가장 많기 때문에 진급이 잘됩니다.

진급이 늦게 되는 주특기는 인사행정, 정보통신이 있습니다.

 

2. 부사관학교 및 병과학교에서의 교육성적입니다.

전역할 때까지 따라다닙니다.

부사관학교에서는 대부분 몸으로 하는 훈련을 합니다.

이 모든 것들이 교관에 의해 모두 점수화되고 성적이 됩니다.

임관 후 군사학교로 갈 텐데 이때는 군사지식을 배웁니다.

배우는 과목마다 시험을 봅니다.

 

3. 평상시 생활을 잘해야 합니다.

진급 대상자가 직접 시험을 보고하지는 않습니다.

하루하루 생활하는 일상 자체가 시험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군대도 사람 사는 곳이라서 뒷말들이 생기면 좋지 않습니다.

1년에 2회 체력측정을 합니다. 특급받으십시오.

하루 일과 중 체력단력시간에 체력단련하십시오.

현실은 하기가 힘들겠지만 야근을 하더라도 체력단련을 해야 합니다.

체력측정 불합격 누적이면 징계사유가 됩니다.

 

4. 상급자와 잘 지내십시오.

상급자가 평정을 작성합니다. 속된 말로 그어지면 끝입니다.

평정이 매우 중요합니다. 본인의 편정이 어떻게 작성되었는지 모르기 때문입니다.

 

5. 자기 계발

자기 계발을 하십시오.

잠재역량이라는 점수가 있습니다. 반영되는 요소들을 찾아서 자격증 취득을 하시면 됩니다.

계급이 올라가면 그만큼 남아있는 사람들이 능력이 좋은 사람들입니다.

0.1점 싸움이 아닌 0.01점대로 싸운다고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