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 중앙일보
오피니언 뉴스 , 중앙일보의 사설칼럼,만평,Hot Poll,e글중심,리셋 코리아,영상 최신 뉴스를 만나보세요.
www.joongang.co.kr
[단독]文정부 들어 해외이민 2배 급증…野 "소문이 사실로"

인천공항에서 일출을 배경으로 여객기가 이륙하는 모습. 중앙포토
“코로나가 끝나면 탈조선 러쉬가 이어질 겁니다.”
최근 취업준비생이 모인 온라인 카페에는 이런 글이 줄을 잇고 있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산으로 해외로 나가는 게 발이 묶였지만 전염병이 잠잠해지면 한국을 떠나는 사람이 늘어날 것이란 전망이다. “일자리가 없어졌다”거나 “헬조선에는 희망 따위는 없다”는 자조 섞인 내용과 함께인 경우가 대부분이다.
이와 관련해 2019년 7월에는 황교안 당시 자유한국당(현 국민의힘) 대표와 더불어민주당 사이에서 논쟁이 벌어지기도 했다. 황 대표가 소셜미디어에 “해외 이주자 수가 문재인 정권 2년 만에 약 5배나 늘어서 금융위기 이후 최대였다”고 쓰자 민주당이 “착시적 통계를 악용했다”고 발끈한 것이다. 이해식 당시 민주당 대변인은 “2018년 지방선거 당시 유권자를 정리하며 기존 국적상실 신청자들에 대한 행정처리 등이 이뤄졌기 때문”이라며 “황 대표는 문재인 정부 깎아내리기에만 눈이 멀었다”고 주장했다.

황교안 전 자유한국당 대표. 오종택 기자
그런데 국적 포기자가 아닌 해외 이주자 통계 자료를 보면 실제 해외 이민은 문재인 정부 들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국민의힘 이주환 의원이 23일 외교부로부터 제출받은 ‘해외 이주 신고자 현황’ 자료에 따르면 문재인 정부 출범 뒤인 2017년 6월부터 2020년 12월까지 해외 이주를 위해 출국한 사례는 모두 2510명이다. 박근혜 정부 때인 2013년 1월부터 2016년 12월까지 1267명이었던 데 비해 98.1% 증가한 것이다. 자료 집계 기간은 현 정부가 오히려 6개월 더 짧았지만 해외 이주 신고자 수는 두 배였던 셈이다.

문정부 박정부 해외이주자 비교. 그래픽=김경진 기자 capkim@joongang.co.kr
해외 이주자가 늘어난 곳은 대부분 선진국이었다. 미국은 992명에서 1680명으로 69.4% 증가했고, 캐나다는 71명에서 260명으로 266% 증가했다. 일본(490%), 프랑스(475%), 호주(90%) 등도 증가율이 높았다. 중국으로의 이민은 12명에서 16명으로 늘었고 전부 국제 결혼을 통한 이주였다.
외교부의 해외 이주자 통계는 ‘연고 이주’(결혼, 친족의 초청, 입양 등)와 ‘무연고 이주’(취업, 사업 등)를 합해서 집계하고 있다. 무연고 이주에 비해 연고 이주는 상대적으로 간편한 이민 방식이다. 결혼을 하거나 먼저 해외에 나가 있는 친척이 초대를 해주면 되기 때문이다.
‘연고 이주’ 미국 123%, 캐나다 594% 증가
연고 이주만 따로 보면 미국은 502명에서 1121명으로 123%, 캐나다는 17명에서 118명으로 594%, 호주는 16명에서 50명으로 213% 각각 증가했다. 상대적으로 해외 이주 여건이 더 좋은 경우에는 증가세가 더 두드러졌다고 볼 수 있는 셈이다.
2017년 12월 해외이주법이 개정되면서 외교부는 다른 목적으로 출국했다가 현지에서 해외 이주를 하는 ‘현지 이주’ 사례도 따로 집계하기 시작했다. 현지 이주는 2017년 12월부터 2020년 12월까지 3년 동안 모두 1만396명이었다. 미국이 4726명으로 가장 많았고 캐나다(2067명), 호주(1004명), 일본(834명), 뉴질랜드(454명) 등의 순서였다. 일반적으로 한국 사람이 이민을 꿈꾸는 나라로 실제로 많이 해외 이주를 한 것이다.
해외 이주 급증하다 코로나 사태로 주춤
급증하던 해외 이주는 코로나 사태를 맞으면서 주춤했다. 현지 이주를 제외한 해외 이주는 코로나 사태 이전까지 455명(2016년)→825명(2017년)→879명(2018년)→978명(2019년)으로 매년 증가 추세였다. 하지만 코로나가 전 세계를 뒤덮은 지난해에는 246명으로 급감했다.
이주환 의원은 “문재인 정권 들어서 해외 이주자가 늘고 있다는 말이 무성했는데 사실로 확인됐다”며 “그나마 코로나로 인해 폭증 추세가 꺾였지만 안정세에 접어들면 언제든 한국을 떠나려는 사람들의 행렬이 이어질 수 있다”고 말했다.
허진 기자 bim@joongang.co.kr
-
swju****2023.01.15 05:36
저는 박근혜정부때 이민을 결심 준비하여 2017년에 독일로 이민왔습니다.문재인 대통령 시기에 이민을 오게 되었지요.이민이 하루 아침에 이루어 지던가요?문재인 정부 문제가 아니라 이전정부의 잘못으로 이민을 결심 준비해온 사람이 많다는 반증입니다.역시 조, 중, 동인가요?현기증이 나서 로그인도 하고 댓글도 답니다. 허진기자님, 팩트를 가장한 정치선동기사는 이 신문 답긴 하지만 양심을 팔진 맙시다.
좋아요0화나요1댓글 옵션 버튼 펼치기/닫기 -
rhrk****2021.04.27 21:59
태극기 노망부대와 국적, 썩검, 기렉 등이 이나라를 떠나면 정말 살기 좋은 나라가 될텐데~~
답글 1좋아요5화나요19댓글 옵션 버튼 펼치기/닫기 -
1711****2021.04.26 20:35
해주이주 등록제가 바뀌어서 기존 이민자가 해외이주로 신고해서 통계가 늘어난 것이라는 YTN 변상욱의 펙트체크가 있었습니다. 허진 기자 부끄러운 줄 알아라.
답글 1좋아요7화나요16댓글 옵션 버튼 펼치기/닫기
'경제,금융'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일본, 작년 세수 또 '사상 최대' 기록할 듯 (0) | 2023.08.13 |
---|---|
지난해 국세청 세수 334.5조, 소득세 가장 많이 걷혔다 (0) | 2023.08.13 |
우리가 세금을 내는 이유 (ft. 세금의 역사) (0) | 2023.08.08 |
日 제조업체 해외로… 해외로 (0) | 2023.08.06 |
`엔고 쓰나미`에 日기업들 "탈일본" 선언 (0) | 2023.08.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