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주하는 넷플릭스에 벼랑 끝 내몰린 CJ ENM…"국가적 지원, 관심 필요""기생충, 설국열차, 명량, 국제시장, 베테랑, 극한직업, 공작, 헤어질 결심"
'한국영화 명가' CJ ENM이 흔들리고 있다. 올 1분기 이어 2분기에도 어닝쇼크를 기록했다. 시장 예상을 뛰어넘는 300억원 영업적자. CJ ENM은 한국 영화계의 상징이라는 점에서 'K-콘텐츠'의 위기라는 해석이 나온다.
12일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따르면, CJ ENM는 올해 2분기 연결기준 매출 1조489억원, 영업손실 304억원을 기록했다.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12% 감소한 수준이며 영업이익은 적자전환했다. 경기침체에 따른 광고시장 위축으로 미디어 플랫폼과 영화드라마 부문 모두 역성장했다.
영화의 명가 CJ ENM이 올해 1분기에 이어 2분기에도 영업적자를 기록했다. [사진=cj enm ]
미디어플랫폼 부문은 광고시장 침체로 매출 3천428억원, 영업손실 299억원을 기록했다.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11.6% 감소했다. 영업이익률은 지난해 2분기 3%에서 0%(지난해 3분기)→–12%(4분기)→–12%(올해 1분기)→–9%(2분기) 등 하락세다. TV광고와 디지털 광고 매출이 크게 줄어든 탓이다.
특히 영화드라마 부문은 상황이 더 심각하다. 매출은 무려 32.2% 역성장하면서 2천296억원에 그쳤고 311억원 영업손실을 기록했다. 드라마 <구미호뎐 1938>, 예능 <서진이네> 등 프리미엄 IP가 아마존 글로벌에 동시 방영되는 등 콘텐츠 해외 판매가 호조를 보였으나, 극장 매출에서 직격탄을 맞았다.
CJ ENM이 내놓는 영화마다 고전을 면하지 못하고 있다. <더 문>은 올 여름 극장 개봉 한국영화 중 최대 자본인 280억원이 투자됐다. 하지만 손익분기점(600만 관객)에 한참 못 미치는 100만 관객도 달성하기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현재 누적 관객수는 43만명에 그친다.
지난해 내놓은 <영웅>을 비롯해 <유령>과 <카운트> 등 기대작도 흥행에 실패했다. '외계+인' 1부(누적 관객수 153만, 손익분기점 750만)의 처참한 실패에 이어 줄줄이 최악의 성적표를 받아들면서 CJ ENM도 벼랑 끝으로 내몰리고 있다.
업계 안팎에서는 CJ ENM의 이같은 어닝쇼크에 대해 우려의 목소리를 내고 있다. CJ ENM은 단순 개별 기업이 아니라 영화 기생충을 통해 아카데미상을 받고 수많은 히트작을 쏟아내는 등 한국 영화계를 이끄는 상징적인 기업이기 때문이다.
CJ ENM이 실적악화로 어려움에 빠진 사이에 넷플릭스는 글로벌 인기를 끄는 오리지널 시리즈와 신규 가입자 유치로 실적이 고공행진하고 있다. 넷플릭스 가입자는 올해 2분기 전세계 589만명 증가해 총 2억 3천839만명이 됐다. 전체 가입자 수가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8.0% 늘었다.
넷플릭스는 한국에 3조원이 넘는 막대한 자본을 투자하기로 하면서 국내 시장 지배력 확대에 공세를 높이고 있다. 넷플릭스를 이용해 K-드라마 등 세계화를 이끌었지만, 반면 국내 OTT 경쟁력은 약화하고 제작사들은 방영채널(플랫폼)을 잡기 어려워지는 등 위기감이 더욱 고조되고 있다.
업계 관계자는 "글로벌 OTT 투자가 확대될 경우 우리나라 고유의 특성을 살린 작품보다는 할리우드식 콘텐츠에 종속될 가능성이 크다"며 "CJ ENM의 실적악화는 K콘텐츠 산업 전체의 위축으로 재부흥을 위해서라도 정부의 관심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한국영화 명가' CJ ENM이 흔들리고 있다. 올 1분기 이어 2분기에도 어닝쇼크를 기록했다. 시장 예상을 뛰어넘는 300억원 영업적자. CJ ENM은 한국 영화계의 상징이라는 점에서 'K-콘텐츠'의 위기라는 해석이 나온다.
12일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따르면, CJ ENM는 올해 2분기 연결기준 매출 1조489억원, 영업손실 304억원을 기록했다.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12% 감소한 수준이며 영업이익은 적자전환했다. 경기침체에 따른 광고시장 위축으로 미디어 플랫폼과 영화드라마 부문 모두 역성장했다.
미디어플랫폼 부문은 광고시장 침체로 매출 3천428억원, 영업손실 299억원을 기록했다.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11.6% 감소했다. 영업이익률은 지난해 2분기 3%에서 0%(지난해 3분기)→–12%(4분기)→–12%(올해 1분기)→–9%(2분기) 등 하락세다. TV광고와 디지털 광고 매출이 크게 줄어든 탓이다.
특히 영화드라마 부문은 상황이 더 심각하다. 매출은 무려 32.2% 역성장하면서 2천296억원에 그쳤고 311억원 영업손실을 기록했다. 드라마 <구미호뎐 1938>, 예능 <서진이네> 등 프리미엄 IP가 아마존 글로벌에 동시 방영되는 등 콘텐츠 해외 판매가 호조를 보였으나, 극장 매출에서 직격탄을 맞았다.
CJ ENM이 내놓는 영화마다 고전을 면하지 못하고 있다. <더 문>은 올 여름 극장 개봉 한국영화 중 최대 자본인 280억원이 투자됐다. 하지만 손익분기점(600만 관객)에 한참 못 미치는 100만 관객도 달성하기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현재 누적 관객수는 43만명에 그친다.
지난해 내놓은 <영웅>을 비롯해 <유령>과 <카운트> 등 기대작도 흥행에 실패했다. '외계+인' 1부(누적 관객수 153만, 손익분기점 750만)의 처참한 실패에 이어 줄줄이 최악의 성적표를 받아들면서 CJ ENM도 벼랑 끝으로 내몰리고 있다.
업계 안팎에서는 CJ ENM의 이같은 어닝쇼크에 대해 우려의 목소리를 내고 있다. CJ ENM은 단순 개별 기업이 아니라 영화 기생충을 통해 아카데미상을 받고 수많은 히트작을 쏟아내는 등 한국 영화계를 이끄는 상징적인 기업이기 때문이다.
CJ ENM이 실적악화로 어려움에 빠진 사이에 넷플릭스는 글로벌 인기를 끄는 오리지널 시리즈와 신규 가입자 유치로 실적이 고공행진하고 있다. 넷플릭스 가입자는 올해 2분기 전세계 589만명 증가해 총 2억 3천839만명이 됐다. 전체 가입자 수가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8.0% 늘었다.
넷플릭스는 한국에 3조원이 넘는 막대한 자본을 투자하기로 하면서 국내 시장 지배력 확대에 공세를 높이고 있다. 넷플릭스를 이용해 K-드라마 등 세계화를 이끌었지만, 반면 국내 OTT 경쟁력은 약화하고 제작사들은 방영채널(플랫폼)을 잡기 어려워지는 등 위기감이 더욱 고조되고 있다.
업계 관계자는 "글로벌 OTT 투자가 확대될 경우 우리나라 고유의 특성을 살린 작품보다는 할리우드식 콘텐츠에 종속될 가능성이 크다"며 "CJ ENM의 실적악화는 K콘텐츠 산업 전체의 위축으로 재부흥을 위해서라도 정부의 관심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영웅 기자 hero@inews24.com
기자 프로필
CJ ENM, 2분기 300억 영업손실…“영화·드라마 적자 폭 키웠다”
|
영화 ‘더 문’ 배우 설경구. 사진 | CJ ENM |
[스포츠서울 | 원성윤기자] CJ ENM이 올해 2분기 매출 1조489억원, 영업손실 304억원을 기록했다. 미디어플랫폼 부진, 영화 ‘더 문’ 등의 잇따른 참패, 63년 만에 작가·배우 노조들의 동반 파업이 시작되면서 ‘피프스시즌’ 작품 제작이 지연된 여파가 컸다. 영업적으로는 광고의 회복, 티빙의 적자 축소, 미국의 편성 재개 등이 나타나야 하는데 단기적으로는 쉽지 않다는 게 업계 분석이다.
13일 CJ ENM 전자공시에 따르면 미디어플랫폼과 영화와 드라마에서는 적자를, 음악 사업과 커머스에서는 흑자를 기록했다. 미디어플랫폼 부문은 광고 시장 둔화가 지속되며 매출 3428억원, 영업손실 299억원을 기록했다. 다만 OTT 티빙 가입자는 전년 동기 대비 69.2% 증가했다.
영화·드라마 부문 2분기 매출은 드라마 ‘구미호뎐 1938’, 예능 ‘서진이네’ 등 프리미엄 지식재산권(IP)가 아마존 글로벌에 동시 방영되는 등 콘텐츠 해외 판매가 호조를 보였으나, 극장 매출 부진으로 지난해 2분기 보다 32.2% 감소한 2296억원을 기록했다.
영화 ‘더 문’은 올 여름 극장 개봉 한국영화 중 최대 자본인 280억원이 투자됐지만 손익분기점(600만 관객)에 한참 못 미치는 100만 관객도 달성하기 어려울 것으로 관측되고 있다. 지난해 내놓은 ‘영웅’과 ‘유령’, ‘카운트’ 등이 실패하면서 적자 폭을 심화시켰다.
여기에 최근 미국 콘텐츠 자회사 ‘피프스시즌’ 일부 작품의 제작 등이 지연돼 지난 2분기 매출 763억 원, 영업손실 326억 원을 기록한 여파도 크게 작용했다. 당초 CJ ENM 은 피프스시즌이 올해 24~28편의 작품을 납품할 것이라고 밝혔으나, 미국 배우·방송인 노동조합(SAG-AFTRA)과 미국작가조합(WGA)이 동시에 파업을 하면서 작품 제작이 지연돼 상반기 납품 편수가 3편에 그쳤다. 티빙은 2분기 매출 767억원, 영업손실 479억원을 기록했다.
|
CJ ENM이 올해 2분기 매출 1조489억원, 영업손실 304억원을 기록했다. 미디어플랫폼 부진, 영화 ‘더 문’ 등의 잇따른 참패, 63년 만에 작가·배우 노조들의 동반 파업이 시작되면서 ‘피프스시즌’ 작품 제작이 지연된 여파가 컸다. 사진|CJ ENM, 메리츠증권 |
음악 부문은 컨벤션 라이브 매출과 자체 휴먼 지식재산권(IP) 사업 성장에 힘입어 매출은 1308억원으로 1년 전과 비교해 14.2% 증가했고, 영업이익 120억원을 달성했다.
지난 5월에 연 ‘케이콘 재팬(KCON JAPAN) 2023’은 12만3000명의 관객을 모으며 역대 최고 티켓 매출을 올렸다. CJ ENM이 함께 주최한 가수 임영웅과 그룹 ‘(여자)아이들’ 콘서트가 성료되면서 컨벤션 라이브 사업 매출도 크게 늘었다. 또한 일본에서 활동 중인 ‘제이오원(jo1)’과 ‘아이앤아이(INI)’ 싱글과 그룹 ‘케플러(kep1er)’ 미니앨범이 판매 호조를 보이며 자체 휴먼 IP 사업 부문의 성과가 매출 성장을 견인했다.
증권사들은 CJ ENM의 향후 전망을 어둡게 봤다. 이기훈 하나증권 연구원은 “광고는 회복된다고 하나 상반기가 역대급으로 부진한 기저효과에 따른 것이며, 티빙도 내년 효율 적인 편성을 통해 회복에 대한 전망은 유지하나 단기적으로 상각비 부담이 작지 않다. 음악 부문 역시 제베원 등의 역대급 흥행으로 상향 요인이 있었으나 빌리프랩의 지분 전량을 하이브에 매각했다. 재무적으로는 긍정적이지만 다소 아쉬운 결정으로 판단된다”고 판단했다. 목표주가는 8만3000원에서 6만6500원으로 하향 조정했다.
정지수 메리츠증권 연구원은 “광고 경기 회복과 Tving 가입자 증가는 긍정적이지만, 피프스 시즌 제작 지연은 부정적”이라며 “음악 사업은 빌리프랩을 매각하고 자체 레이블 육성에 집중해 사업을 확대할 계획에 있기 때문에 속도는 느리지만 실적 개선이 가시화 되고 있다”고 전망했다. 목표주가는 8만2000원에서 6만6500원으로 하향 조정했다.
socool@sportsseoul.com
원성윤 기자
'충무로,모델' 카테고리의 다른 글
충무로 적자보장한다 발표 (0) | 2023.08.15 |
---|---|
사자경제] 영화 ‘기생충’ 만들었더니 적자행진? (0) | 2023.08.15 |
골드문3작 폐기 (0) | 2023.07.29 |
‘한류로 번 돈’ 2년3개월 만에 줄어…BTS 언급 한한령도 우려 (0) | 2023.07.05 |
병신이 미처날뛴 레전드 (0) | 2023.07.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