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달러에…한국, GDP 세계 13위로 추락
https://www.hankyung.com/article/2023071220031
12일 한국은행에 따르면 지난해 한국의 명목 GDP는 1조6733억달러(시장환율 적용)를 기록했다. 호주(1조7023억달러)에 이어 세계 13위 수준으로 추정되는 규모다. 2020년과 2021년 각각 10위에서 세 계단 하락했다.
명목 GDP란 한 나라에서 재화와 서비스가 얼마만큼 생산됐는지를 보여주는 지표다. 한국의 경제 규모가 세 계단 하락한 것은 지난해 달러 강세로 인해 달러 표시 GDP가 크게 악화한 탓이 크다. 한은에 따르면 지난해 원화 표시 명목 GDP는 2161조8000억원으로 전년 대비 3.9% 증가했다. 하지만 환율이 평균 12.9% 상승하면서 이를 달러로 환산한 경제 규모는 7.9% 쪼그라든 것으로 집계됐다. 경제 활력이 떨어진 것도 순위 하락에 영향을 준 것으로 여겨진다. 한은 관계자는 “지난해 달러 강세로 환율 전환 지표들이 대부분 안 좋게 나오고 있다”고 말했다.
강진규 기자 josep@hankyung.com
- 기사 스크랩
- 공유
- 프린트
- 1
지난해 우리나라의 경제 규모가 세계 10위권 밖으로 밀려난 것으로 추정됐다.지난 2년 간 10대 반열에 올랐으나 글로벌 강달러로 인한 원화 가치 하락, 성장 부진에 13위까지 밀려났다.12일 한국은행에 따르면 지난해 시장환율을 적용한 한국의 명목 국내총생산(GDP)는 1조6733억달러로, 세계 13위 수준일 것으로 추정됐다.미국이 25조4627억달러로 세계 1위를 차지했으며, 이어 중국이 17조8760억달러로 G2(주요 2개국) 지위를 굳혔다.세계 3위는 일본(4조2256억달러)이었고 그다음 4~5위는 독일(4조752억달러), 영국(3조798억달러)순이었다.6위부터 10위는 인도(3조96억달러), 프랑스(2조7791억달러), 캐나다(2조1436억달러), 러시아(2조503억달러), 이탈리아(2조105억달러)로, 이들까지가 세계 10대 경제 대국에 포함됐다.한은 등에 따르면 우리나라는 2021년까지만 해도 명목 GDP1조1809억달러의 10위 경제 대국이었다. 당시에는 11위가 러시아(1조7787억달러), 12위 호주(1조7345억달러), 13위 브라질(1조6089억달러)로 우리나라가 앞섰지만 올해는 거꾸로 이들 3개국이 우리를 제쳤다. 러시아와 호주, 브라질은 지난해 각각 9위, 12위, 11위에 오른 것으로 보인다.작년 한해 동안 한국의 명목 GDP 감소에는 원화 가치 하락이 많은 영향을 미쳤다.원화를 기준으로 우리나라의 작년 명목 GDP는 2161조8000억원으로 1년 전에 비해 3.9% 증가했다. 하지만 달러를 기준으로 했을 땐 환율이 12.9%나 급등한 탓에 7.9% 감소했다.이번 조사 때 우리나라를 앞서간 러시아·호주·브라질 등 3개국의 경우 자원 부국인 덕분에 원자재 가격 상승이 자국 통화 가치를 방어하는 효과를 낸 것으로 분석된다.올해도 우리나라가 다시 10위권 안으로 들어가긴 어려울 전망이다.올 한해 경제성장률이 1%대 초중반으로 전망되는 데다 글로벌 강달러 현상도 지속되고 있기 때문이다.국제통화기금(IMF)의 4월 전망에 따르면 올해 한국의 GDP는 1조7200억달러로 세계 12위에 오를 것으로 나타났다. 호주(1조71000억달러)는 추월하지만 브라질(2조800억달러), 러시아(2조600억달러)는 여전히 뒤따른다.우리나라가 처음 세계 10위 경제 대국이 된 것은 2005년이었다. 이후 10위 안에 들지 못하다가 2018년에 다시 들었으며 2019년에는 두 계단 미끄러져 12위를 기록했다가 다시 2020년과 2021년에 2년 연속 10위를 차지했다.김주미 키즈맘 기자 mikim@kizmom.com
- 2
골드만삭스 “2075년, 인도가 미국 제치고 세계 2위 경제대국 된다”
글로벌 투자은행 골드만삭스가 2075년 인도가 중국에 이은 세계 2위 경제대국이 될 것이라는 전망을 내놓았다.미국 CNBC는 7월 10일 골드만삭스의 최근 보고서를 인용해 2075년까지 인도가 일본과 독일, 미국 등을 제치고 세계 2위 경제 대국이 될 것이라고 보도했다. 현재 인도는 국내총생산(GDP) 기준으로 미국 중국 일본 독일에 이은 세계 5위의 경제 대국이다.골드만삭스는 2075년이면 중국의 국내총생산(GDP)이 57조달러로 1위, 인도가 52조5000억달러로 2위를 기록할 것으로 전망했다. 이어 미국이 51조5000억달러, 유럽연합(EU)이 30조3000억달러, 일본이 7조5000억달러로 예상했다.골드만삭스는 인도의 급증하는 인구 외에도 혁신과 기술의 발전, 자본 투자 증가, 근로자 생산성 증가가 경제 발전을 견인하고 있다고 분석했다. 인도는 지난 4월 중국을 제치고 세계 1위 인구대국 자리를 꿰찼다.골드만삭스 리서치의 산타누 셍굽타 인도 담당 연구원은 "한 국가의 부양비는 총 노동연령 인구 대비 부양가족 수로 측정되는데, 부양비가 낮다는 것은 청소년과 노인을 부양할 수 있는 노동연령층 성인이 비례적으로 많다는 것을 의미한다”며 “빠르게 성장하는 인도의 잠재력을 끌어내기 위해서는 노동력 참여를 높이는 것이 중요하다”고 설명했다.이와 함께 셍굽타는 향후 20년 동안 인도는 대규모 경제권 중에서 대외의존도가 가장 낮은 국가가 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골드만 보고서에 따르면 인도 경제는 수출에 의존하는 다른 지역 경제와 달리 내수에 의해 주도되고 있으며, 성장의 최대 60%가 주로 국내 소비와 투자에 기인한다고 합니다.셍굽타 연구원은 “그러나 무엇보다 눈 여겨 봐야 할 것은 인도의 기술 혁신과 투자”라고 강조한다. 인도의 비정부 무역 협회인 나스콤에 따르면 인도의 기술 산업 매출은 2023년 말까지 2450억 달러가량 증가할 것으로 예측하고 있다.다만 아킬레스건은 급증하는 인구만큼 노동력 참여율이 증가할지 여부다. 셍굽타 연구원은 "인도의 노동력 참여율은 지난 15년 동안 감소했다"며 “특히 여성의 노동력 참여율이 남성보다 현저히 낮다”고 지적한다. 골드만삭스가 지난 6월 발표한 별도의 보고서에 따르면 인도의 전체 노동 가능 연령 여성 중 20%만이 취업 상태에 있는 것으로 나타난다.골드만삭스는 인도는 지금 민간 부문이 더 많은 일자리를 창출하고 대규모 노동력을 흡수하기 위해 제조 및 서비스 부문에서 생산 능력을 확대할 적절한 시기를 맞이하고 있다고 진단했다. 실제 인도 정부 또한 도로와 철도 건설 등 인프라 구축에 우선순위를 두고 있다. 인도의 최근 예산안은 인프라에 대한 투자를 촉진하기 위해 주 정부에 대한 50년 무이자 대출 프로그램을 지속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골드만삭스 외에 S&P 글로벌과 모건 스탠리도 인도가 2030년까지 세계 3위의 경제 대국이 될 것으로 예측한 바 있다. 인도의 1분기 GDP는 전년 동기 대비 6.1% 성장하여 로이터의 예상치인 5% 성장을 크게 상회했다. 이정흔 기자 vivajh@hankyung.com
- 3
사우디 감산 '자충수' 되나…"올해 성장률 -1% 떨어질 수도"
사우디아라비아가 대대적인 감산을 결정했지만, 국제 유가가 좀처럼 오르지 않으면서 올해 성장률이 1% 하락할 수 있다는 전망이 나왔다.9일 블룸버그통신에 따르면 블룸버그이코노믹스 전문가들은 사우디가 연말까지 원유 감산을 유지할 경우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이 마이너스(-)1%로 떨어질 것이라고 예상했다.전문가들은 만약 사우디가 9월 원유 생산량을 늘리면 성장률은 -0.1%로 높아질 것이라고 전망했다.사우디가 실제로 올해 -1%의 경제성장률을 기록하면 이는 주요 20개국(G20) 가운데 아르헨티나(-2.2%) 다음으로 최악의 성적표가 될 수 있다.뱅크오브아메리카(BoA)의 이코노미스트인 장미셸 살리바는 "사우디의 감산에는 큰 비용이 들 것"이라고 말했다.사우디는 유가가 급등했던 지난해 8.7%의 경제성장률을 기록한 바 있다. 지난해 우크라이나와 러시아 간 전쟁이 시작되면서 국제유가가 배럴당 100달러를 웃돌았고, 수입이 급증했기 때문이다.하지만 올해 들어 국제 유가는 글로벌 경기침체 우려 등으로 80달러를 넘지 못하고 있다. 마지막 거래일인 7일 기준 8월 인도 서부텍사스산원유(WTI) 가격은 배럴당 73.86달러에 거래를 마쳤다.사우디는 유가를 떠받들기 위해 대대적인 감산을 결정했지만, 유가를 끌어올리는 데는 역부족이다.특히 사우디는 지난달 4일 석유수출국기구(OPEC)와 비(非)OPEC 주요 산유국 협의체인 OPEC+ 정례 장관급 회의에서 나 홀로 하루 100만 배럴(bpd) 추가 감산 방침을 발표하기도 했다.사우디의 하루 원유 생산량은 이달부터 약 1000만 배럴에서 900만 배럴로 감소한 상황이다. 사우디는 이 조치를 8월까지 유지하기로 했다.일부 분석가들은 2024년까지 감산을 유지하더라도 플러스 성장을 이어갈 수 있다고 봤다. 옥스퍼드 이코노믹스는 사우디의 올해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0.2%로 제시했다.한편 블룸버그 설문조사에서 G20 국가 중 가장 빠른 성장이 기대되는 국가는 인도(7%)이며 중국(5.5%)과 인도네시아(-4.9%)가 그 뒤를 이었다.신정은 기자 newyearis@hankyung.com
'경제,금융' 카테고리의 다른 글
추락하는 성장률… ‘한국경제 - 세계경제’ 디커플링 심화 (2) | 2023.12.31 |
---|---|
엔고의 배경과 한국경제에 미치는 영향 한국경제 (1) | 2023.12.31 |
이진우 특파원의 ‘워싱턴 워치’] 미국의 하우스푸어, 렌트푸어 (1) | 2023.12.28 |
한국 곧 뱅크런 시작(대기업 건설사 연쇄부도) (0) | 2023.12.28 |
12월26일은 낙태일 예약일 시작이라고요 (0) | 2023.12.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