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업/공기업,공무원

진급(승진)하고 싶다고?실적/성과를 회사랑 동일함:공시생-공무원 계통

GODblessus 2022. 11. 26. 22:30

https://m.blog.naver.com/PostView.naver?blogId=mirae_saram&logNo=221434293014&scrapedType=1&scrapedLog=222938937432&scrapedOpenType=2

 

공무원 성과평가제도 어떻게 변해왔을까?

예로부터 공무원들은 어떻게 평가를 받았을까요? 고려시대, 조선시대를 거쳐 현대의 공무원 성과평가제도를...

blog.naver.com

공무원 성과평가제도 어떻게 변해왔을까?
 인사혁신  2019. 1. 4. 17:18
예로부터 공무원들은 어떻게 평가를 받았을까요?
고려시대, 조선시대를 거쳐 현대의 공무원 성과평가제도를 알아보았습니다.
 
 
고려시대에는 고과법(考課法) 이 있었습니다.
6품 이하 관리들, 그중에서도 특히 지방관에 대한 평정업무 관리 강화가 목적이었습니다.
근무일수·근무태도·업적·재능·품행 등을 기록, 관리하고 평가해 승진과 좌천, 포상과 처벌에 반영하던 고려 시대의 인사제도였죠.

평가기준은 5가지였습니다.
①농지의 개척 ②호구의 증식 ③부역의 균등 ④소송의 신속처리 ⑤도둑의 단속 능력 및 업적 이 그것이었죠.
이 평가는 이부(吏部)에 소속된 고공사(考功司)에서 관장했습니다.
 
조선시대 초기인 태조~태종 시대의 공무원 성과평가제도는 고려시대 고과법(考課法)을 승계했습니다.
그런데 평가 기준이 고려 5가지보다는 더 늘어났어요. 고려시대의 수령5사에 ‘학교의 진흥’과 ‘예속의 보급’ 을 추가한 '수령 7사'와 공직자 윤리규범 4조(덕의·공정·청근·근면)를 평가했지요.

평정방식은 4단계였습니다. 선(善)·최(最)·악(惡)·전(殿) 으로 구분하여 평정하고 평가 기준에 따라 각각 점수화를 했어요.
선(善) : 공(公)·염(廉)·근(勤)·근(謹) ⇔ 악(惡) : 탐(貪)·포(暴)·태(怠)·열(劣)
최(最) : 전야확대, 호구 증가, 부역 균등, 학교 진흥, 사송 간결 ⇔ 전(殿) : 전야 황폐, 호구 감손, 부역 빈번, 학교 피폐, 사송 지체

각 기준별 점수를 종합 판단하여 ‘상·중·하’ 로 평가했는데요. 선 · 최가 모두 없는 사람은 퇴출하기도 했어요.
 
조선시대 세종·세조 이후에는 성과평가제도가 좀 더 세분화되었습니다. 고과법과 포폄범을 시행했는데요.
 
고과법 은 근무태도 및 능력(역량) 평가하는 법인데요.
기본평가항목으로 근무시간·근무일수·업무실적·범죄유무가 있고, 특별규정으로 독서 시험을 평가하였다 합니다.
 
평가는 일년에 2번 이루어졌습니다. 성적을 ‘상·중·하’ 로 평가하여 경관은 이조가, 외관은 관찰사가 작성하여 국왕에게 보고하였지요.
평정결과에 따라 총5회의 고과에서 3上부터 5上까지 재물을 더해주고(加資), 3中부터 5中까지는 현 보직유지하며 1下를 받으면 모두 파면했다고 해요. 중앙관리(京官)는 현재 보직을 유지하고, 관리자(통정대부/정3품) 훈계했죠.
 
 
포폄법은 조선시대 관리들의 근무성적을 평가해 포상과 처벌에 반영하던 인사행정제도입니다.
포폄법에서 ‘포’는 포상을 의미하고 ‘폄’은 폄하를 의미해요.

앞 서 설명드린 고과법과 어떻게 다를까요?
‘고과’는 관리들의 일반근무동향 종합기록제도로 인사관리 기본자료로 활용하고, ‘포폄’은 직속상관에 의한 근무성적 평정제도로 상벌 목적 위주로 활용했습니다. 그리고 「경국대전」에 두 조항으로 구분해 적었습니다. 그런데 포폄법은 넓게 보면 고과법의 일부로, 고과 평가 시 포폄 결과를 참고자료로 활용했다고 합니다.

중앙관리는 소속관아의 당상관·책임자 및 해당 조(曹)의 당상관이 평가하고, 지방관은 각 도의 관찰사가 그 지역의 병마절도사와 의논하여 평가했어요.
포폄법은 매년 6월 15일과 12월 15일에 상·중·하 등급 평가하고 네(4) 글자씩 논평의견 작성하여 중앙행정기구인 이조(吏曹)에 통보했습니다.
이 평정결과는 반영)
 
각 직책별 임기에 따라 10고/5고/3고/2고로 구분했는데요. 당상관인 수령은 한번만 중을 받아도(一考一中) 파직했다고 합니다.
관리의 기강확립·직무독려를 위해 시행된 이 제도는 공정성 문제로 일부 물의도 있었지만, 비교적 잘 정비된 평정제도로서 국가행정을 활성화시켰다는 평을 받고 있습니다.

퇴출·파직 등 현재보다 강력한 성과관리 체계
신분보장이 되는 현 공무원체계와 달리 평가 결과에 따른 퇴출·파직 등의 제재가 존재하여 현재보다 강력한 성과관리체계로 운영되었습니다.

관리자(평가자)의 권한이 크게 영향, 관대화 경향 발생
평가자의 정성적 판단에 의한 평가에 따른 파직·파면 제재 등이 가능하므로 아첨 등 부작용이 발생했습니다.
절대평가 방식에 따른 관대화 경향도 있고요.
실록에 기록된 관대화 관련 사례 중 성종 시대 일입니다.
여러 도의 관찰사에게 유시하기를 “대간에서 관리가 재물을 탐내고 용렬하여 직책을 감당하지 못하는 자를 나열하여 아뢰었으므로 여러 대신에게 의논하여 그 가운데서 가장 심한 자 7인을 내쫓았는데 이들은 모두 전날에 고과의 등급에서 상등에 있었던 자들이니 어찌하여 이와 같이 서로 반대되는가?” 하였다. 성종 1년(1470) 6월 5일

평가결과 공개 및 이의제기 등의 조정 프로세스 미비
협의과정도 일부 존재하나 대체로 평가자의 판단에 의하여 평가결과가 최종 반영되다보니, 평가과정의 투명성 및 공정성 문제에서 논란이 발생했습니다.

다면평가 등 종합적 평가방식의 부재
평가자에 의한 단독평가 중심으로 운영되었습니다. 동료·하급자 등 다양한 평가자에 의한 의견수렴 등 종합적인 평가체계 활용은 미흡했다는 한계가 있습니다.

금전적 보상보다 승진·관직이동·파직 등 인사조치 중심의 결과활용
무록관(無祿官)·가자(加資)와 같은 일부 금전적 제재·보상도 있었으나 대체로 인사조치(승진·파면 등) 중심 결과에 활용되었습니다. (별도 성과급 기준 無)
 
 
 
현재 공무원 성과평가제도는
4급 이상은 성과계약평가, 5급 이하는 근무성적 평가로 나누어 평가합니다.
 

성과계약평가는 개인성과·국정과제·사회적가치 등을 기준에 따라 평가합니다.
근무성적평가는 ①근무성적평정(근무실적·직무수행능력·태도·부서평가), ②경력평정(근무경력), ③가점평정(자격증·특수지 경력 등), ④다면평가로 이루어져있는데요, 다면평가 결과는 인사관리 등에 참고자료로 활용합니다.

평정방식은 성과계약평가 연1회(12월 31일 기준) · 근무성적평가 연2회(6월 30일/12월 31일 기준) 평가하고 있습니다.
명칭은 약간 다른데요, 성과계약평가는 매우우수·우수·보통·미흡·매우미흡 의 5등급이고요, 근무성적평가는 수·우·미·양·가로 구분하여 평가하고 있어요. 평가결과만 봐도 어떤 평가인지 알 수 있죠?

성과계약평가는 보수(성과연봉) 결정·인사관리 기초자료 활용하고, 근무성적평가는 승진·보수(성과상여금) 결정에 활용하고 있습니다.
 
현재의 공무원 성과평가제도는 과거로부터 이어온 '고과법'을 발전적으로 계승하고 있습니다.

평가자 1인에 의한 의한 주관적 · 정성적 평가를 보완합니다.
확인자 평가 추가, 동료 · 부하직원의 다면평가, 평가결과 공개, 이의제기 · 재심사로 공정하게 평가합니다.

절대평가에 따른 관대화 경향을 방지합니다.
평가 등급별 인원비율에 따른 상대평가를 기본으로 하여 평가자에 의한 지나친 관대화 경향을 방지합니다.

보상에 대한 기준을 명확하게 합니다.
성과평가에 따른 보상체게를 명확히 하여 예측가능성과 신뢰를 높이고, 업무 동기를 부여합니다.
 
인사혁신처는
더 공정하고
더 투명한
성과평가를 위해 노력하겠습니다.
 
 
 
     
     
   
     
인사혁신
mirae_saram 

공무원 인사와 윤리·복무·연금 업무 및 공무원시험, 채용 등 인력개발 관련 국가행정기관 
페이스북 : https://www.facebook.com/miraesaram 
유튜브 : https://www.youtube.com/c/mpmkorea 
인스타그램 : https://www.instagram.com/mpm_kr/

프로필

 
 
 

최근댓글

 

카테고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