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m.ytn.co.kr/news_view.amp.php?param=0103_202306140937357802
[단독] 경찰 ‘그대가 조국’ 흥행 조작의혹 수사
■ ‘영화 관객수 조작’ 수사 확대
관객 33만… 독립영화중 이례적
55위→8위 등 순위 역주행도
발권기록·전산망 확보 분석 중
배급사 “후원자 표 구해줬을 뿐”
경찰이 조국 전 법무부 장관이 출연한 다큐멘터리 영화 ‘그대가 조국’의 박스오피스 순위가 조작된 정황을 포착하고 수사에 나선 것으로 15일 확인됐다. 조 전 장관의 임명 과정을 다룬 이 영화는 지난해 5월 개봉 이후 관객 33만 명을 동원해 그해 독립 영화 중 최고의 흥행기록을 세웠다. 야권과 지지자들은 조 전 장관 일가의 입시 비리 수사와 사법부 판결이 잘못됐다는 여론이 반영됐다고 두둔했지만 “조작된 흥행일 수 있다”는 지적이 커질 전망이다.
서울경찰청 반부패·공공범죄수사대는 지난 13일 CGV, 롯데시네마, 메가박스 등 멀티플렉스 3사와 롯데엔터테인먼트, 쇼박스, 키다리스튜디오 등 배급사 3곳을 관객 수 조작 의혹으로 압수수색 하면서 의심 영화 목록에 ‘그대가 조국’을 포함했다. 경찰은 이 영화에 대한 입장권 발권 기록과 통합전산망(KOBIS) 자료 등을 확보해 분석하고 있다. 경찰은 실제 관객이 없는 상태에서 관객 수를 부풀렸다는 이른바 ‘유령 관객’ 의혹 전반을 파악하고 있다. 경찰은 “관객을 부풀리는 방법을 통해 영화진흥위원회의 고유 업무를 방해했다는 혐의로 수사 중”이라고 했다. 박스오피스 순위는 멀티플렉스에서 발권 정보를 영진위 영화관입장권 통합전산망에 전송하는데, 실상영·관람 여부는 확인하지 않는 구조여서 조작이 가능한 것으로 전해졌다.
해당 영화를 배급한 엣나인필름의 정상진 대표는 “이 영화를 크라우드펀딩을 통해 제작했기 때문에 후원자들에게 리워드(혜택) 차원에서 실제 참석과 무관한 표를 구매해준 게 전부”라며 “(이런 발권을) 제외하면 어떠한 관객 수 조작도 없었다”고 반박했다.
‘그대가 조국’은 문재인 정부에서 조 전 장관이 법무부 장관에 지명된 2019년 8월 9일부터 장관직을 사퇴한 10월 14일까지 내용을 그렸다. 조 전 장관이 딸 조민 씨의 입시 비리 의혹으로 윤석열 당시 검찰총장으로부터 표적 수사를 받고 있다는 주장과 대법원이 지난해 1월 정경심 전 동양대 교수에 대해 징역 4년을 선고한 판결이 잘못됐다는 취지의 내용도 담겼다. 지지자들 사이에선 판결 불복의 근거로 활용됐고 개봉 이후 31억 원의 매출을 거뒀다. 한 영화계 관계자는 “비슷한 유형의 영화인 ‘문재인입니다’는 관객 수가 11만 명으로 ‘그대가 조국’의 3분의 1 정도”라며 “당시에도 비정상적으로 관객이 많다는 말이 많았다”고 했다.
문화일보가 ‘그대가 조국’ 상영 기간 박스오피스 순위 등을 분석한 결과, 순위가 역주행하는 사례가 반복적으로 있었다. 지난해 7월 4일 55위(관객 수 21명)에서 하루 만에 8위(987명)로 치솟았다가 같은 달 12일 70위(11명)로 급락했다.
경찰은 당초 2021∼2022년 개봉한 ‘비상선언’ ‘비와 당신의 이야기’ 등 4편의 영화를 수사 대상에 올렸다가 현재 70∼80편의 영화를 대상으로 수사를 확대하고 있다.
관객 33만… 독립영화중 이례적
55위→8위 등 순위 역주행도
발권기록·전산망 확보 분석 중
배급사 “후원자 표 구해줬을 뿐”
경찰이 조국 전 법무부 장관이 출연한 다큐멘터리 영화 ‘그대가 조국’의 박스오피스 순위가 조작된 정황을 포착하고 수사에 나선 것으로 15일 확인됐다. 조 전 장관의 임명 과정을 다룬 이 영화는 지난해 5월 개봉 이후 관객 33만 명을 동원해 그해 독립 영화 중 최고의 흥행기록을 세웠다. 야권과 지지자들은 조 전 장관 일가의 입시 비리 수사와 사법부 판결이 잘못됐다는 여론이 반영됐다고 두둔했지만 “조작된 흥행일 수 있다”는 지적이 커질 전망이다.
서울경찰청 반부패·공공범죄수사대는 지난 13일 CGV, 롯데시네마, 메가박스 등 멀티플렉스 3사와 롯데엔터테인먼트, 쇼박스, 키다리스튜디오 등 배급사 3곳을 관객 수 조작 의혹으로 압수수색 하면서 의심 영화 목록에 ‘그대가 조국’을 포함했다. 경찰은 이 영화에 대한 입장권 발권 기록과 통합전산망(KOBIS) 자료 등을 확보해 분석하고 있다. 경찰은 실제 관객이 없는 상태에서 관객 수를 부풀렸다는 이른바 ‘유령 관객’ 의혹 전반을 파악하고 있다. 경찰은 “관객을 부풀리는 방법을 통해 영화진흥위원회의 고유 업무를 방해했다는 혐의로 수사 중”이라고 했다. 박스오피스 순위는 멀티플렉스에서 발권 정보를 영진위 영화관입장권 통합전산망에 전송하는데, 실상영·관람 여부는 확인하지 않는 구조여서 조작이 가능한 것으로 전해졌다.
해당 영화를 배급한 엣나인필름의 정상진 대표는 “이 영화를 크라우드펀딩을 통해 제작했기 때문에 후원자들에게 리워드(혜택) 차원에서 실제 참석과 무관한 표를 구매해준 게 전부”라며 “(이런 발권을) 제외하면 어떠한 관객 수 조작도 없었다”고 반박했다.
‘그대가 조국’은 문재인 정부에서 조 전 장관이 법무부 장관에 지명된 2019년 8월 9일부터 장관직을 사퇴한 10월 14일까지 내용을 그렸다. 조 전 장관이 딸 조민 씨의 입시 비리 의혹으로 윤석열 당시 검찰총장으로부터 표적 수사를 받고 있다는 주장과 대법원이 지난해 1월 정경심 전 동양대 교수에 대해 징역 4년을 선고한 판결이 잘못됐다는 취지의 내용도 담겼다. 지지자들 사이에선 판결 불복의 근거로 활용됐고 개봉 이후 31억 원의 매출을 거뒀다. 한 영화계 관계자는 “비슷한 유형의 영화인 ‘문재인입니다’는 관객 수가 11만 명으로 ‘그대가 조국’의 3분의 1 정도”라며 “당시에도 비정상적으로 관객이 많다는 말이 많았다”고 했다.
문화일보가 ‘그대가 조국’ 상영 기간 박스오피스 순위 등을 분석한 결과, 순위가 역주행하는 사례가 반복적으로 있었다. 지난해 7월 4일 55위(관객 수 21명)에서 하루 만에 8위(987명)로 치솟았다가 같은 달 12일 70위(11명)로 급락했다.
경찰은 당초 2021∼2022년 개봉한 ‘비상선언’ ‘비와 당신의 이야기’ 등 4편의 영화를 수사 대상에 올렸다가 현재 70∼80편의 영화를 대상으로 수사를 확대하고 있다.
김규태 기자(kgt90@munhwa.com)권승현 기자(ktop@munhwa.com)
경찰, '비상선언' 등 한국영화 4편 관객 수 조작 의혹 수사
사회2023-06-14 09:37
관객 수 조작 의혹을 받는 영화들 ⓒ쇼박스·키다리스튜디오
영화 ‘비상선언’과 ‘뜨거운 피’ 등이 관객 수를 조작했다는 의혹이 제기되며 경찰이 수사에 나섰다.
13일 서울경찰청 반부패·공공범죄수사대는 CGV·롯데시네마·메가박스 등 멀티플렉스 영화관 3곳과 롯데엔터테인먼트·쇼박스·키다리스튜디오 등 배급사 3곳을 압수 수색해 입장권 발권 기록과 영화관입장권통합전산망 입력 자료 등을 확보했다.
이들 영화관과 배급사는 한국 영화 관객 수를 허위로 집계해 영화진흥위원회의 업무를 방해한 혐의를 받는다.
영화진흥위원회는 영화관입장권통합전산망을 운영하며 영화별 관객 수와 매출액 등 박스오피스를 관리한다. 집계는 멀티플렉스 등 영화사업자가 전산망에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식으로 이뤄지는데 이 과정에서 영화진흥위원회에 조작된 수치를 제공했다는 의혹이다.
현재 관객 수 조작 의혹을 받는 영화는 ‘비상선언’, ‘뜨거운 피’, ‘비와 당신의 이야기’ 등 모두 4편이다.
실제로 지난해 8월 개봉한 ‘비상선언’의 경우 새벽 시간대에 여러 회차가 매진돼 관객들의 의심을 사기도 했다. 당시 메가박스는 “코로나19로 중단됐던 심야 상영 오픈을 준비하면서 테스트가 필요했고, 테스트 중 상영 시간표가 뜨면서 발생한 이슈”라고 해명했다. 그러나 해당 데이터가 정상 발권으로 간주해 박스오피스에 집계됐고, 이는 그해 국정감사 현장에서도 지적된 바 있다.
2021년 4월 개봉한 ‘비와 당신의 이야기’도 개봉 5주 차에 박스오피스 순위가 24위에서 이틀 만에 4위로 급상승하며 조작 의혹을 받았다. 당시 배급사는 ‘이미 구매가 이뤄진 프로모션용 티켓을 자체 소진하는 과정에서 생긴 일’이라고 해명했지만, 논란은 끊이지 않았다.
ⓒ YTN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13일 서울경찰청 반부패·공공범죄수사대는 CGV·롯데시네마·메가박스 등 멀티플렉스 영화관 3곳과 롯데엔터테인먼트·쇼박스·키다리스튜디오 등 배급사 3곳을 압수 수색해 입장권 발권 기록과 영화관입장권통합전산망 입력 자료 등을 확보했다.
이들 영화관과 배급사는 한국 영화 관객 수를 허위로 집계해 영화진흥위원회의 업무를 방해한 혐의를 받는다.
영화진흥위원회는 영화관입장권통합전산망을 운영하며 영화별 관객 수와 매출액 등 박스오피스를 관리한다. 집계는 멀티플렉스 등 영화사업자가 전산망에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식으로 이뤄지는데 이 과정에서 영화진흥위원회에 조작된 수치를 제공했다는 의혹이다.
현재 관객 수 조작 의혹을 받는 영화는 ‘비상선언’, ‘뜨거운 피’, ‘비와 당신의 이야기’ 등 모두 4편이다.
실제로 지난해 8월 개봉한 ‘비상선언’의 경우 새벽 시간대에 여러 회차가 매진돼 관객들의 의심을 사기도 했다. 당시 메가박스는 “코로나19로 중단됐던 심야 상영 오픈을 준비하면서 테스트가 필요했고, 테스트 중 상영 시간표가 뜨면서 발생한 이슈”라고 해명했다. 그러나 해당 데이터가 정상 발권으로 간주해 박스오피스에 집계됐고, 이는 그해 국정감사 현장에서도 지적된 바 있다.
2021년 4월 개봉한 ‘비와 당신의 이야기’도 개봉 5주 차에 박스오피스 순위가 24위에서 이틀 만에 4위로 급상승하며 조작 의혹을 받았다. 당시 배급사는 ‘이미 구매가 이뤄진 프로모션용 티켓을 자체 소진하는 과정에서 생긴 일’이라고 해명했지만, 논란은 끊이지 않았다.
'경찰,검찰 > 사건파일'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학원세무조사:학벌주의종말의시작 (0) | 2023.07.01 |
---|---|
2023하반기 몇명이 도주 하고 살인 될지(티켓사재기) (0) | 2023.06.15 |
소년촉법악용 안통한다 중학생 징역15년 (0) | 2023.05.30 |
50억에서 5000원 남아" 타이거JK가 가장 잘나갈 당시 소속사에 뒤통수 맞았을 당시 (0) | 2023.05.17 |
조선족 시켜 청부살해? 영화 신세계처럼 청부살인? (0) | 2023.05.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