괌, 美 아태지역 전략거점 뜬다...주일 해병 4700명 이전
- 뉴스1 제공
- 2012.02.08 15:55
(서울=뉴스1) 여인옥 기자=
|
|
괌의 미 앤더슨 공군기지 AFP=News1
|
일본 오키나와 주둔 미 해병대 8000명 중 4700명이 주일미군 재편안에 따라 괌으로 이전하게 돼 괌이 미국의 아시아ㆍ태평양지역 안보전략상 가장 주요거점으로 떠오를 전망이다.
미국과 일본 양국은 8일 밤 오키나와 주둔 미 해병대의 일부를 괌으로 이전시키는 것을 주요 내용으로 하는 '주일미군 재편 로드맵'을 동시에 발표한다고 일본 현지 언론들이 보도했다.
미일 양국은 이 로드맵에서 미군의 괌 이전과 오키나와현 기노완(宜野)시 후텐마(普天間) 기지 이전을 분리해 주일미군 중 일부를 괌으로 먼저 이전시키기로 했다.
이에 따라 오키나와 주둔 미 해병대 8000명 중 4700명이 먼저 괌으로 갈 것으로 예상된다.
미일 양국은 이날 성명을 통해 미일 동맹이 일본의 방위와 아시아ㆍ태평양지역의 평화와 안전에 꼭 필요하다고 지적하고, 아시아ㆍ태평양지역을 중시하는 오바마 정부의 신 국방전략에 따라 전략 거점으로서의 괌의 중요성을 강조할 것으로 보인다.
이 로드맵에 따라 1500명 규모의 미 해병대가 일본 본토인 야마구치현 이와쿠니(岩)기지에 새로 상주할 것으로 예상된다. 그러나 이 지역의 반발을 우려해 이날 발표에는 자세한 내용이 생략될 예정이다.
또한 후텐마 기지가 오키나와현 나고시(名護市) 헤노코(野古)로 이전될 예정이지만 이 내용 역시 이날 성명에서 제외될 것으로 보인다.
양국 정부는 오는 4월 하순 양국 외무ㆍ국방 각료가 참여하는 미일 안전보장협의회를 열어 이러한 로드맵에 합의할 예정이다.
|
|
https://news.mt.co.kr/mtview.php?no=2012020815458298448
괌, 美 아태지역 전략거점 뜬다...주일 해병 4700명 이전 - 머니투데이
(서울=뉴스1) 여인옥 기자= 일본 오키나와 주둔 미 해병대 8000명 중 4700명이 주일미군 재편안에 따라 괌으로 이전하게 돼 괌이 미국의 아시아ㆍ태평양지역 안보전략상 가장 주요거점으로 떠오를
news.mt.co.kr
주일 미군 재배치 3년여 만에 합의
|
|
|
|
|
|
닫기
- 2006-05-02 11:44
|
-+
|
오키나와 미군 괌으로 이전, 자위대와 미군 기지 공동 사용
|
![](https://blog.kakaocdn.net/dn/A0m7U/btsy7OLsNVc/MIc50Uq0UwbA30XrdOAwC1/img.jpg)
미국과 일본이 오키나와 미군 기지를 괌으로 이전하고, 자위대와 미군이 기지를 공동으로 사용하는 군사유대 강화 방안에 합의했다.
3년여를 끌어왔던 주일 미군의 재배치 계획이 마침내 결실을 맺었다.
미국과 일본은 2일 워싱턴에서 두 나라의 외무.국방장관 합동회의, 이른바 미.일 안전보장협의위원회를 열어 주일 미군의 재배치 계획을 최종 합의했다.
미국과 일본은 주일 미군의 오키나와 비행장을 오는 14년까지 슈와브 기지 연안으로 옮기고 해병대 병력 8천명을 괌으로 이전하기로 했다.
미국과 일본은 주일 미군 비행장과 해병대 기지를 괌으로 옮기는 대신 미국 워싱턴주에 있는 미 육군 제 1군단 사령부를오는 2008년까지 일본의 가나가와 자마현으로 옮겨 통합작전 사령부로 개편하기로 했다.
자마현에는 특히 일본의 육상 자위대의 대테러공격부대가 배치돼 미국 육군과 일본의 육상 자위대가한 기지내에서 동거하게 된다.
일본의 공군의 일부도 미 제5공군사령부가 있는 요코다 기지로 들어간다.
이는 미국과 일본의 군사적 협력체제가 구체화됨을 의미한다.
미국과 일본은 이번 주일 미군의 재배치 계획을 확립하면서 두 나라 군대의 지위체계 일원화 등 군사 협력을 공고히 했다는 점이 특징이다.
문제는 일본이 분담해야 할 미군의 이전 비용이 260억달러에 이를 것으로 추산돼 일본 내의 반발이 만만치 않다는 점이다.
https://www.yna.co.kr/view/MYH20220511010200641?input=blog
"트럼프, 주한미군 철수 지속 주장…가족 대피령도" | 연합뉴스
[앵커] 북미간 긴장이 최고조에 달했던 2018년 초, 트럼프 당시 미국 대통령이 주한미군 가족에 대한 대피령을 실제 내리려 했었다고 에스퍼 전...
www.yna.co.kr
"트럼프, 주한미군 철수 지속 주장…가족 대피령도"
05-11 13:57[앵커]
북미간 긴장이 최고조에 달했던 2018년 초, 트럼프 당시 미국 대통령이 주한미군 가족에 대한 대피령을 실제 내리려 했었다고 에스퍼 전 미 국방장관이 밝혔습니다.
당시 군 핵심 관계자가 해당 사실을 확인한 건 처음인데요.
워싱턴 이경희 특파원입니다.
[기자]
북미 간 대화 분위기가 조성되기 전인 2018년 1월.
북미 정상은 서로의 핵 단추를 과시하는 말폭탄을 주고 받으며 긴장관계를 최고조로 끌어올렸습니다.
<도널드 트럼프 / 전 미국 대통령(2018년 1월)> "북한의 무모한 핵무기 추구가 우리의 본토를 곧 위협할 수 있습니다. 우리는 그런 일이 일어나지 않도록 최고의 압박작전을 펼치고 있습니다."
일촉즉발의 시기, 트럼프 대통령이 주한미군 가족에 대한 대피령을 내리려다 결국 접었다고 마크 에스퍼 전 국방장관이 회고록에서 밝혔습니다.
익명의 당국자를 인용한 미 언론 보도나 책을 통해 알려진 적은 있지만 당시 미군 지휘부가 직접 확인한 건 처음입니다.
자신이 육군장관이던 시절 트럼프 대통령이 주한미군 가족을 대피시키라는 명령을 곧 발표한다는, 믿기 힘든 긴급전화를 받았다며 실제 내려진다면 미국은 북한과 전쟁을 준비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했다고 밝혔습니다.
그러나 다행히도 누군가의 설득으로 그런 경고는 곧 사라졌다면서 하지만 이렇게 중요한 문제를 두고 왜 왔다 갔다 하는 결정이 나오는지 말문이 막혔다고 적었습니다.
앞서 CNN은 제임스 매티스 당시 국방장관과 허버트 맥매스터 국가안보보좌관의 막후 교섭으로 해당 지시가 불발됐다고 보도한 바 있습니다.
에스퍼 전 장관은 회고록 관련 인터뷰에서는 트럼프 전 대통령이 방위비 분담 문제를 이유로 주한미군의 완전 철수를 수차례 주장했다고 전했습니다.
자신을 비롯한 고위 관료들이 대북 억지력 상실은 물론 중국이 환영할 일이라며 만류했지만 주장을 굽히지 않았고 두 번째 임기 우선순위로 하자는 제안으로 설득하기도 했다고 덧붙였습니다.
워싱턴에서 연합뉴스TV 이경희입니다.
#마크_에스퍼 #미국_ 전_국방장관 #회고록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제보는 카카오톡 okjebo<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2022/05/11 13:57 송고
'군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저격전(狙擊戰] 저격수 잡는 저격수, 「부메랑 III (boomerang III)」 (0) | 2023.10.25 |
---|---|
짜빠구리정권은 짜돌이 (0) | 2023.10.24 |
이지스 베이스라인(AEGIS BASELINE) 7.1은 탄도미사일 요격이 안된다? (언론사들의 이상한 보도) (0) | 2023.10.22 |
MK14 WDS 에 대한 백선호님의 답변 (2) | 2023.10.22 |
치장물자소류급등 전쟁시 증원될것-일본해군 (1) | 2023.10.14 |